수집 데이터는 많았으나 매체 데이터, GA 데이터, 내부 데이터의 차이가 커 데이터 적합성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었습니다. 또한, 비슷한 역할, 노출 지면을 담당하는 운영 매체들이 많아 미디어믹스 최적화 작업 역시 필요했습니다.
[Campaign Idea & Key Result]
매체 데이터와 GA 데이터 비교를 통해 데이터 적합성을 체크했으며, 이를 위해 파편화되어 있던 UTM 전면 수정&통일 작업 진행하였고 퍼널 단계에 따른 기여 기간 역시 수정하여 매체의 실질적인 전환 매출을 검증했습니다. 카카오모먼트, GFA의 경우, 캠페인 목표는 전환이나 전환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기에 실질적으로는 트래픽 매체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판단하여 캠페인 목표를 트래픽으로 운영하였고, 이에 따라 CPC를 큰 폭으로 줄여 효율적으로 사용했습니다. 또한 GA 전환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매체 중 가장 효율이 좋았던 매체를 선정해 예산을 배분 및 매체 운영을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 동일 기간 대비 광고비 감액에도 불구하고 비교 기간과 동일한 매출, 트래픽을 유지했습니다.
[Campaign Background]
수집 데이터는 많았으나 매체 데이터, GA 데이터, 내부 데이터의 차이가 커 데이터 적합성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었습니다. 또한, 비슷한 역할, 노출 지면을 담당하는 운영 매체들이 많아 미디어믹스 최적화 작업 역시 필요했습니다.
[Campaign Idea & Key Result]
매체 데이터와 GA 데이터 비교를 통해 데이터 적합성을 체크했으며, 이를 위해 파편화되어 있던 UTM 전면 수정&통일 작업 진행하였고 퍼널 단계에 따른 기여 기간 역시 수정하여 매체의 실질적인 전환 매출을 검증했습니다. 카카오모먼트, GFA의 경우, 캠페인 목표는 전환이나 전환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기에 실질적으로는 트래픽 매체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판단하여 캠페인 목표를 트래픽으로 운영하였고, 이에 따라 CPC를 큰 폭으로 줄여 효율적으로 사용했습니다. 또한 GA 전환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매체 중 가장 효율이 좋았던 매체를 선정해 예산을 배분 및 매체 운영을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 동일 기간 대비 광고비 감액에도 불구하고 비교 기간과 동일한 매출, 트래픽을 유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