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가 있는 기업들은 무엇이 다른가

“도대체 왜 그 목표가 중요한가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내게 주어진 시간이 10시간이라면 절반 이상의 시간을 올바른 목표를 찾기 위한 시도와 배움으로 사용할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함이 아니라 올바른 목표, 그 자체를 찾기 위함인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브랜드의 마케팅 팀과 일하면서 느끼는 것은 소름 끼치도록 조직의 목표와 팀의 목표가 잘 정렬된 팀이 있는가하면 전혀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저 ‘효율적이고 획기적인 방법’을 쫓는 팀이 있다는 것이다. 후자 팀은 스스로의 목표가 달성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상위 조직의 목표가 달성되지 않는 지에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자연스럽게 우리 팀의 존재 이유(Why)와 팀의 적합한 목표에 대해서 궁금증을 갖게 된다. 

Why와 그에 잘 정렬된 명확한/측정가능한 목표로 시작한 조직은 그렇지 않은 조직과 비교했을 때 무엇이 다를까?


조직과 팀의 목표 연결성

조직의 탄생은 창업자(창업팀)의 문제의식에서 시작된다. 꼭 문제의식이 아니더라도 무엇인가를 만들고 이루기 위함이다.(개인적으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창업팀이 여러모로 나은 가시적인 성과를 빨리 얻을 수 있다. _'럭셔리 제품 구매 경험을 개선하겠다’가 ‘럭셔리 제품을 만들겠다’보다 낫다.) 이는 조직의 존재 이유로 직결된다. 그런데 간혹 이 Why가없거나 있더라도 각 팀/구성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생각보다 큰 문제로 연결된다.
 

이렇게 비교해보자. 

‘마케터의 루틴한 업무들을 자동화시켜 생산성을 높인다’의 why가 있는 조직이라고 가정해보자. 이 why가 조직 전체에 잘 전파 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각 마케팅 팀은 어떻게 하위 목표를 설계하고 실행 전략까지 짜게 되는지 보자.
 

비교 내용  

  •     why:   
  •     why가 달성됐다고 판단하는 지표(output):   
  •     자사 제품을 기반으로 하는 핵심 지표(output):   
  •     위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하위 지표(input):   
  •     실행전략:   



위 내용은 다양한 논의와 조율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지만 간단하게만 표현해보더라도 why의 전파가 되지 못한 팀은 얼마나 지엽적이고 차별화되지 못한 전략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지 알 수 있다. 또한 최종 output 지표의 등락에 예민해지고 이것으로만 성과 판단을 하게 되면서 팀의 유연성과 실행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내기 어렵다. 어떤 input 지표가 output지표에 영향을 주는 지 경험을 바탕으로 확인이 필요한데 이를 확인할 경험적 근거가 부재하게 된다. 그리고 가장 큰 문제는 팀이 매출을 쫓는 문화가 뼈속까지 파고 든다는 것이다. 매출을 쫓는 팀은 고객지향적인 사고와는 먼 실행을 하게 되며 아주 기능적으로 동작하게 되면서 업무에서 빠르게 동기부여가 사라지고 지치게 된다. 물론, 오른쪽의 실행전략들이 ‘나쁜 것’은 아니다. 다만 목적이 부재한 액션은 의미없다. 

몇 가지만 조직과 팀의 의사결정을 정렬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체크해보자.   


  •     팀은 무슨 문제를 해결하는가  
  •     문제가 있는 시장은 얼마나 크며(측정 가능), 우리는 1년 안에 어느 정도의 크기의 시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고객의 수)  
  •     1년 안에 달성 가능한 고객의 수와 제품의 가격 구조 기반으로 우리 팀은 얼만큼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가  
  •     목표 시장 크기(고객의 수_output)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달성되어야 할 핵심 지표(input)들은 무엇인가  
  •     핵심 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전략은 무엇인가   
  •     이 실행전략을 이미 능숙하게 해본 경험있는 사람/팀은 누구이며,우리 조직의 내부/외부에 있는가   
  •     핵심 지표를 달성하게 되는 실행전략은 이후 어떻게 시스템/자동화화 할 것인가  

위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올바른 조직의 목표(output)를 세우고 그와 연계된 핵심지표(input)를 적합한 팀에 맡김으로써 각 팀에서 자발적인 실행전략을 세우고 다양한 실행전략의 시도를 통해서 핵심지표가 조직의 목표와 연계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확인되었다면 그 핵심지표의 실행전략을 섬세하게 다듬고 시스템/자동화해야 한다. 그리고 또 다른 핵심지표 수립, 실행전략의 연구가 필요하다. 

위의 이야기처럼 목표 정렬이 잘 되어 있다면 아래의 내용들은 자연스럽게 쫓아오는 부수적인 감사한 결과물들이다.   


  •     일관된 의사결정  
  •     고객지향적  
  •     조직적인 팀의 의사결정  
  •     업무처리 속도  
  •     목표를 따르는 팀원의 자발성  
  •     실패를 맞이한 팀의 자세  

위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을 통해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인스타그램

👉 브런치


👉 위대하고 긴 여정은 한 걸음부터 시작합니다. (문의하기)





Photo by Markus Winkler on Unsplash


Fax. 02-6455-4109 |welcome@opinno.co.kr
Addr.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03 하이브로빌딩 1514호 ㅣ Biz License 764-87-01119

대표이사. 전민우